교육

선택과 집중 긍정적인 생각을 하는 훈련 방법

과외파트너 2022. 7. 18. 11:24

Mindfulness Positive Psychology Training, 즉 MPPT는 마음 훈련입니다.

 

마음 공부를 목적으로 하는 마음 훈련은 궁극적으로 우리가 행복하기 위해 하는 것으로 스트레스 관리, 웰빙 증진, 집중력 향상 등 학생들의 공부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것들을 일컫습니다.

 

마음을 잘 다루기 위해서는 우리 마음에 대해서, 우리 마음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고 그것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우리 마음을 잘 알아야 우리가 더 행복할 수 있지 않을까요?

 

마음 공부는 '마음 기술'과 '마음 지식'을 익히는 것으로 각각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습니다.

 

마음을 다루고 마음 건강을 증진시키는 마음 기술

명상

명상은 쉬는 것으로 다른 말로는 비우는 것입니다.

 

명상에서는 생각이 아닌 것에 주의를 보내는데 대표적인 것이 '감각'으로 점 하나만 찍어 보는 것도 명상이 될 수 있습니다.

 

그 감각으로 주의를 기울이면 생각이 잦아들면서 마음이 평화로워지는데 이때를 저는 0점 상태라고 부릅니다.

 

이 0점을 잘 잡는 기술을 명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음 챙김

마음 챙김은 마음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호흡할 때 감각을 온전히 느끼면서 내가 지금 어떤 숨을 쉬고 있구나, 내가 앉아 있구나 같이 현재 본인의 마음을 관찰하는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여기에서 멈추지 않고 긍정적인 훈련을 통해 내면을 개발하여 나의 동기를 건강하게 발전시키고 쓸 수 있어야 합니다.

 

긍정 심리

동기를 바르게 세울수록 꿈을 이루고자 하는 강한 동기가 생기며 이는 우리의 삶을 변화시킵니다.

 

그것이 긍정 심리입니다.

 

문제 해결 자체보다는 건강한 내면을 개발하는 데 초점을 두는 것입니다.

 

요점은 강점보다 동기를 강조하는 데 있습니다.

 

그 사람의 인생에 정말 필요한 동기가 무엇인지 코칭하고, 그것을 잡아 주는 심리 교육자, 상담가가 되어야 합니다.

 

긍정 심리 코칭에서는 과거를 헤집기보다 그 속에 든 건강한 동기를 찾아 실현시킵니다.

 

728x90

마음의 특징과 작용에 대한 지혜, 마음 지식

구성주의

구성주의는 외부에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나와 환경이 상호 작용해서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실제 경험은 나를 통하지 않고는 만들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스트레스는 보통 받는다고 표현하지만 정확히 말하면 자신이 만드는 것입니다.

 

구성주의를 실생활뿐만 아니라 코칭에도 적용하여 고객과 대화하면서 자신을 볼 수 있어야 합니다.

 

동기 상태 이론

스트레스와 웰빙이 만들어질 때 중요하게 작용하는 내적 요소가 바로 동기입니다.

 

욕구가 없으면 스트레스는 없습니다.

 

스트레스를 받고 싶지 않다면 욕구를 내려 놓으면 되는데 문제는 욕구를 내려놓으면 웰빙도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나온 것이 '선택과 집중'입니다.

 

어떤 욕구를 나의 동기로 삼을 것이며, 어떤 동기를 버릴지 결정하는 현명한 선택을 하여야 합니다.

 

정보 처리 용량 제한성

우리의 인지 능력은 일정량을 넘어가면 다 담아 내지 못하는데 이를 정보 처리 용량 제한성이라고 합니다.

 

그렇기에 긍정적인 것들로 나를 자꾸 채우면 부정적인 것들이 자리할 수 없습니다.

 

긍정 심리에 건강한 동기들을 추가해 나가는 훈련을 할수록 우리는 행복과 성장에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마음 사회 관점

마음이 곧 사회라는 것이 요점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자기 욕구가 매우 위축되어 있습니다.

 

마음 사회 관점에서 마음 챙김은 여러 나의 모습을 공평하게 감싸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런 모습도 나야, 두려워할 필요 없어'라는 자기 훈련이 필요합니다.

 

우리 각자는 마음이라고 하는 사회의 리더이기에 부정적인 나를 알아주고, 긍정적인 나를 자꾸 사용해야 합니다.

 


 

궁극적으로 마음 공부를 통해 행복을 누리고 성장할 수 있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행복이란 동기, 욕구라고도 하며, 성장은 마음 공부를 통해 지식과 기술이 발전하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가 마음에 대해서 고민하는 것도 성장의 계기이고 명상, 마음 챙김, 긍정 심리 기술을 배우고 연마해 나가는 과정 또한 성장입니다.

 

우리가 마음에 대해서 고민하는 것도 성장의 계기이고 명상, 마음 챙김, 긍정 심리 기술을 배우고 연마해 나가는 과정 또한 성장입니다.